지구의 오랜 기간 걸쳐 나타나는 기후 특성의 변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각 국가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국제 사회에 제출한 값. 일반적으로 2030년까지의 감축 목표를 설정함
메탄에 고열의 수증기를 반응시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방식
- 그레이 수소: 천연가스, 화석 연료를 이용해 생산될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수소 생산 방식
- 블루수소: 그레이 수소 생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방식
- 그린수소: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분해 방식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삼불화질소(NF3)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주로 지중 또는 해양등 지하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1988년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 설립. 기후변화의 위험성 평가 및 자료 제공
유엔 기후변화협약.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채택. 현재 195개국 가입. 온실가스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 진행
UNFCCC 당사국 총회. 매년 개최되며, UNFCCC 당사국들이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논의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국제회의. 2015년 파리는 COP 21에 해당
EU 탄소 국경세 제도. 유럽 연합이 역내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탄소세 제도.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수소 상품이 이에 해당.
정부나 국제기구가 기업 또는 국가에 일정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부여한 권리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하는 행위
배출권 거래제
자발적 탄소 시장
Measurement, Reporting, Verification(측정, 보고, 검증)
CO₂와 광물을 반응하여 고체화 하는 것
환경, 사회, 지배구조 기준